지난 14일 전격적으로 우리의 193번째 수교국이 된 쿠바. <br /> <br />대통령실은 미국의 경제 제재가 풀리면 쿠바가 신흥시장으로 부상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차전지 생산에 필수적인 니켈 생산량은 세계 5위, 코발트 매장량은 세계 4위여서 광물 공급망 분야에서 협력 잠재력이 크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 쿠바는 전력 사정이 좋지 않고 미국의 금수조치로 생필품이 부족해 생활용품이나 전자제품, 발전기 등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미국의 제재로 쿠바와의 직접 교역이 상당 부분 제한되지만, 이번 수교를 계기로 차근차근 협력 기반을 조성해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임수석 / 외교부 대변인 : 앞으로 우리 정부는 쿠바 정부와 상호 상주공관 개설 등 우호 증진을 위한 후속조치를 적극 협의해 나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형제국 '쿠바'의 수교로 충격을 받은 북한은 강온 양면작전을 펼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해 북방한계선을 부정하고 무력도발을 위협하면서 일본에 대해선 기시다 총리의 방북 가능성을 언급하며 유화의 손짓을 보내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외교적 고립을 피하면서 한미일의 대북 공조를 흔들어보겠다는 복합적 의도가 깔린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임을출 /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: 한미일 공조가 그 어느 때보다 공고하게 다져진 그런 상태고, 북일 관계가 개선되기에는 많은 난관이 있습니다. 그 핵심 난관이 결국 일본의 납북자 문제와 그리고 핵·미사일 문제죠.] <br /> <br />또 쿠바가 국제무대에서 북한이 아닌 우리의 입장을 지지하기는 쉽지 않은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현준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ㅣ박정란 <br />그래픽ㅣ김진호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21817084420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